본문 바로가기
일본어

라쿠텐증권 逆指値란? 무슨 뜻? 일본주식 스탑로스 하는 방법

by Worldwide_Mars 2021. 5. 29.

안녕하세요. 저는 일본에서 라쿠텐증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최근 4~5월경에 라쿠텐증권에서 역지정가가 생겼습니다.

 

증권회사 별로 제공하는 회사가 있고 그렇지 않은 회사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용 하고 계시는 증권어플 혹은 홈페이지에서 逆指値(逆指値)라는 단어가 있는지를 봐 주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역지정가 매수란 매도를 할 때 자주 쓰는 방법입니다.

 

예를들면 내가 가지고 있는 애플의 주식은 160달러 입니다. 

 

그렇다면 매도주문을 140달러로 걸어놓으면 마켓에서 시장가로 걸어놓은 사람이 있을시 바로 팔려버립니다.

 

즉, 우리는 160달러의 주식을 140달러라는 헐값에 팔아버리는 셈이 된것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쓰는 것은 역지정가(逆指値) 입니다.

 

위에 니오 라는 주식이 있습니다. 

 

이의 경우 제가 역지정가(逆指値) 주문을 걸어놓으면 지금 팔리는게 아니라 30달러에서 31달러 사이에서 팔아버린다는 주문을 넣는 것입니다.

흔히 이를 스탑로스 라고 부릅니다.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거래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逆指値買い(역지정가매수)의 경우

 

니오라는 주식이 현재 10달러이고, 앞으로 8달러로 떨어질것이라 예상을 한다고 칩시다. 그럴경우

 

8달러로 지정가(指値) 주문을 넣습니다. 그렇다면 8달러로 떨어질 경우, 니오라는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만약 니오라는 주식이 15달러로 올라 갈 것으로 예상을 하고 그때부터 모멘텀이 붙는다고 가정을 한다고 칩시다. 

 

그럴 경우에는 12달러로 역지정가(逆指値)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니오가 10달러이고 15달러로 올라 간다고 예상을 했었고 불가피한 경우 모니터링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10달러짜리 니오를 15달러로 주문을 넣는다면 10달러에 관한 호가창에서 가장 비싼 가격대를 매입을 하게 될 경우가 있으므로 역지정가(逆指値)를 사용하면 편합니다.

 

逆指値売り(역지정가매도)의 경우

 

니오라는 주식이 현재 10달러 이고, 계속 가지고 가고 싶지만 손실을 어느정도로 막기 위해서 8달러로 떨어지면 다 팔아버리고 싶은 경우 입니다.

 

이 경우 지정가 8달러로 지정가 매도를 걸어놓으면 10달러 짜리를 8달러에 팔아버리는 셈이 되어버립니다.

만약, 역지정가(逆指値) 매도를 할 경우, 10달러의 가격이 8달러로 떨어 질 시, 자동으로 처분을 해주는 셈입니다.

 

그러므로 역지정가(逆指値)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며, 잘만 활용하신다면 효율적인 트레이딩을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정리>

 

거래방법의 종류 특징 사용 시기
지정가매수(指値買い) 현재 호가창 기준으로
지정된 가격으로 구매
현재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사고 싶을 경우
지정가매도(指値売り) 현재 호가창 기준으로
지정된 가격으로 구매
현재 호가창 기준에서 제일 비싸게 팔고 싶을 경우
역지정가 매수(逆指値買い) 특정 가격을 기준으로
지정된 가격으로 매수
현재가격보다 특정 가격대에서 모멘텀이 더 붙을것이라 예상하고  그 가격으로 매입하고 싶은 경우
역지정가 매도(逆指値売り) 특정 가격을 기준으로
지정된 가격으로 매도
현재가격보다 특정 가격대까지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고 계속 모니터링 할 수 없으므로 그 가격대에 자동적으로 매도 하고 싶을 경우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트레이딩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혹시나 알고 싶으신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시면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제가 조사해보고 혹은 알고 있다면 포스팅을 해드리겠습니다.

 

댓글